자료실

자료실

[2025 CES, 혁신 기술과 트렌드 총정리]

페이지 정보

25-01-10 14:01 지비산업정보원

본문

2025 CES, 혁신 기술과 트렌드 정리

 

202517일부터 10일까지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CES 2025는 역대 최대 규모로 전 세계의 이목을 집중시켰습니다

올해 CES는 참가국 166개국, 기업 4,800여 개, 참관객 14만 명 이상이 참여하며 기술 혁신의 장으로 자리매김했습니다.

 특히 인공지능(AI), 모빌리티, 디지털 헬스케어 등 미래 기술이 중심이 되어 글로벌 트렌드를 선도하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CES 2025의 주요 내용과 주목할 기술, 한국 기업들의 활약을 종합적으로 정리합니다.

7b6da346882c64eaaef21a40cee0b4a0_1736485672_1543.png
 

1. 역대 최대 규모

참가국: 166개국

참가 기업: 4,800여 개(전년 대비 29% 증가)


2. 주요 기술 트렌드

1. 인공지능(AI)

AI는 올해 CES의 핵심 주제였습니다. AI 기반 제품과 솔루션은 전년 대비 50% 이상 증가하며 생활 전반에 걸쳐 적용되고 있습니다.

 

엔비디아: AI 기반 로보틱스 플랫폼 '코스모스' 공개.

삼성전자: 초개인화된 AI 홈 솔루션 'Home AI' 발표.

LG전자: AI 에이전트를 활용한 스마트 공간 솔루션 개발.


7b6da346882c64eaaef21a40cee0b4a0_1736485682_8281.png
 

2. 모빌리티

미래형 이동 수단인 자율주행차와 도심 항공 모빌리티(UAM)가 주목받았습니다.

 7b6da346882c64eaaef21a40cee0b4a0_1736485695_84.png

현대모비스: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를 차량에 적용.

토요타: 자율주행 기술을 강화한 신형 차량 공개.


3. 디지털 헬스케어

AI를 활용한 개인 맞춤형 의료 서비스와 디지털 치료제가 큰 관심을 받았습니다.

 7b6da346882c64eaaef21a40cee0b4a0_1736485731_3357.png

SK텔레콤: AI 기반 헬스케어 비서 '에스터' 공개.

다양한 웨어러블 기기와 원격 의료 솔루션 등장.


4. 지속가능성

탄소 배출 절감과 친환경 기술이 강조되었습니다.

 

재생 가능 에너지를 활용한 스마트홈 기기.  / 에너지 효율성을 극대화한 IoT 기반 기술.

 

3. 한국 기업들의 활약

한국은 CES 2025에서 역대 최다인 1,031개 기업이 참가하며 큰 주목을 받았습니다. 특히 K-스타트업 통합관과 서울통합관은 혁신적인 기술력으로 글로벌 시장에서 두각을 나타냈습니다.

 

K-스타트업 통합관

중소벤처기업부 주관으로 운영된 K-스타트업 통합관에는 127개 스타트업이 참여했습니다.

한국 스타트업들은 CES 혁신상 중 210개를 수상하며 글로벌 경쟁력을 입증했습니다.

서울통합관

서울시는 역대 최대 규모(1,040)의 서울통합관을 운영하며 창업 생태계와 첨단 기술을 선보였습니다.

7b6da346882c64eaaef21a40cee0b4a0_1736485747_3192.png
 

4. CES 2025와 미래사회

CES 2025는 단순히 기술 전시를 넘어 사회적 문제 해결과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한 방향성을 제시했습니다. 특히 AI와 지속가능성은 인간 삶의 질을 높이고 환경 문제를 해결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또한, 한국 기업들의 활약은 글로벌 무대에서 대한민국의 기술력을 다시 한번 입증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CES 2025는 역대 최대 규모로 개최되며 전 세계가 직면한 다양한 문제에 대한 혁신적인 해결책을 제시했습니다. 특히 AI와 지속가능성을 중심으로 한 기술들은 미래 사회를 변화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한국 기업들의 활약 또한 눈부셨으며, 앞으로도 글로벌 시장에서의 성장이 기대됩니다.

<<<>>>>

GBC는 고객이 무엇이 필요한지 알고 있습니다.
어떠한 서비스를 해야 하는지 알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