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CES, 혁신 기술과 트렌드 총정리]
페이지 정보
25-01-10 14:01 지비산업정보원본문
2025 CES, 혁신 기술과 트렌드 정리
2025년 1월 7일부터 10일까지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CES 2025는 역대 최대 규모로 전 세계의 이목을 집중시켰습니다.
올해 CES는 참가국 166개국, 기업 4,800여 개, 참관객 14만 명 이상이 참여하며 기술 혁신의 장으로 자리매김했습니다.
특히 인공지능(AI), 모빌리티, 디지털 헬스케어 등 미래 기술이 중심이 되어 글로벌 트렌드를 선도하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CES 2025의 주요 내용과 주목할 기술, 한국 기업들의 활약을 종합적으로 정리합니다.
1. 역대 최대 규모
참가국: 166개국
참가 기업: 약 4,800여 개(전년 대비 29% 증가)
2. 주요 기술 트렌드
1. 인공지능(AI)
AI는 올해 CES의 핵심 주제였습니다. AI 기반 제품과 솔루션은 전년 대비 50% 이상 증가하며 생활 전반에 걸쳐 적용되고 있습니다.
엔비디아: AI 기반 로보틱스 플랫폼 '코스모스' 공개.
삼성전자: 초개인화된 AI 홈 솔루션 'Home AI' 발표.
LG전자: AI 에이전트를 활용한 스마트 공간 솔루션 개발.
2. 모빌리티
미래형 이동 수단인 자율주행차와 도심 항공 모빌리티(UAM)가 주목받았습니다.
현대모비스: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를 차량에 적용.
토요타: 자율주행 기술을 강화한 신형 차량 공개.
3. 디지털 헬스케어
AI를 활용한 개인 맞춤형 의료 서비스와 디지털 치료제가 큰 관심을 받았습니다.
SK텔레콤: AI 기반 헬스케어 비서 '에스터' 공개.
다양한 웨어러블 기기와 원격 의료 솔루션 등장.
4. 지속가능성
탄소 배출 절감과 친환경 기술이 강조되었습니다.
재생 가능 에너지를 활용한 스마트홈 기기. / 에너지 효율성을 극대화한 IoT 기반 기술.
3. 한국 기업들의 활약
한국은 CES 2025에서 역대 최다인 1,031개 기업이 참가하며 큰 주목을 받았습니다. 특히 K-스타트업 통합관과 서울통합관은 혁신적인 기술력으로 글로벌 시장에서 두각을 나타냈습니다.
K-스타트업 통합관
중소벤처기업부 주관으로 운영된 K-스타트업 통합관에는 127개 스타트업이 참여했습니다.
한국 스타트업들은 CES 혁신상 중 210개를 수상하며 글로벌 경쟁력을 입증했습니다.
서울통합관
서울시는 역대 최대 규모(1,040㎡)의 서울통합관을 운영하며 창업 생태계와 첨단 기술을 선보였습니다.
4. CES 2025와 미래사회
CES 2025는 단순히 기술 전시를 넘어 사회적 문제 해결과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한 방향성을 제시했습니다. 특히 AI와 지속가능성은 인간 삶의 질을 높이고 환경 문제를 해결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또한, 한국 기업들의 활약은 글로벌 무대에서 대한민국의 기술력을 다시 한번 입증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CES 2025는 역대 최대 규모로 개최되며 전 세계가 직면한 다양한 문제에 대한 혁신적인 해결책을 제시했습니다. 특히 AI와 지속가능성을 중심으로 한 기술들은 미래 사회를 변화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한국 기업들의 활약 또한 눈부셨으며, 앞으로도 글로벌 시장에서의 성장이 기대됩니다.
<<<>>>>